최근 중국에서 자궁경부암 예방백신인 '가다실'을 중국 남성 접종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승인받았다는 소식을 듣게 되었습니다. 가다실 제품을 유통하고 있는 국가 중 최초의 적응증 추가인데요. 우리나라에서도 가다실을 남성에게 접종해야 하는지에 대한 의견들이 많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습니다. 젊은 여성분들에게는 접종 권고를 하고 있지만, 정부에서도 남성에게는 지원사업 등 추가 대상으로 지정해 두지 않고 있는데요. 향후 미국 및 우리나라에서도 어떻게 변화될지 주목될만한 이벤트라고 생각합니다. 이번 포스팅은 이러한 자궁경부암에 대해 전반적인 내용을 살펴보고자 합니다.
자궁경부암 검사 및 증상, 예방접종, 백신에 대한 내용들을 하나하나 살펴보고 정부에서 시행하고 있는 자궁경부암과 밀접하게 관련 있는 HPV 국가예방접종 지원사업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HPV 국가예방접종 지원사업은 질병관리철 예방접종도우미를 통해 자세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예방접종도우미
국가 예방접종 지정의료기관 찾기 어린이 국가예방접종 지원사업 HPV 국가예방접종 지원사업 B형간염 주산기 감염 예방사업 어르신 폐렴구균 예방접종사업 인플루엔자 국가예방접종 지원사업
nip.kdca.go.kr
[확인 방법]
질병관리청 예방접종도우미 Home → 예방접종 정보 → 국가예방접종사업 소개 → HPV 국가예방접종 지원사업
자궁경부암 검사는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는 인유두종바이러스 검사 방법으로 진행되고 있습니다. 검사 방법으로는 세포진 검사도 가능하지만 검색률이 상당히 낮기 때문에 적합하지 않으며, 전통적인 방법인 바이러스 배양 기술 또한 바이러스 감염을 구별할 수 없기 때문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최근에는 바이러스의 DNA를 활용하여 인유두종 바이러스의 존재 및 유전자형을 검사하는 방법들이 개발되어 유용한 검사 방법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가장 대표적인 검사방법은 하이브리드 캡쳐2이며, 13가지 종류의 고위험군 인유두종 바이러스를 동시에 발견해 낼 수 있는 방법으로 병원 외래에서 간단히 시행할 수 있으며, 빠른 시간 내 검사 결과를 획득할 수 있으며, 병적인 변화가 나타난 부위의 크기 및 중증도를 예측할 수 있는 검사 방법입니다.
우리나라 식약처에서는 국내 최초로 허가된 검사 방법인 인유두종 바이러스 유전자칩(HPV DNA Chip)을 이용한 검사법은 방법이 간단하고 소량의 검체를 통해서 검사가 가능하며 인유두종 바이러스의 감염 여부 및 감염된 바이러스의 종류들을 동시에 구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위 검사 방법들은 가까운 병원(비뇨기과 및 산부인과)를 내원하여 외래에서 쉽게 검사받을 수 있습니다.
자궁경부암의 감염 경로는 아직까지 명확하게 밝혀져 있지는 않지만, 대부분의 경우는 인유두종 바이러스의 자궁경부 감염은 성행위를 통해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성경험이 전혀 없는 여성에서도 감염 보고가 되고 있어 감염이 확인되었다고 하여 성교 진행한 상대자를 원인 요인으로 단정할 수는 없습니다.
대부분은 무증상이나 저위험군 바이러스 중 6번 또는 11번에 의한 감염일 경우에는 외음부 또는 성기에 사마귀가 나타나며, 통증, 소양증 등의 증상이 동반될 수 있고 조직이 쉽게 부서지기도 합니다.
인유두종 바이러스 예방 백신은 2007년 이후 국내에서 유통 허가받은 자궁경부암 예방 백신인 가다실이 대표적입니다.
가다실 4가 백신으로 9세 ~ 26세 청소년 및 여성에게 접종 허가 받았으며, 첫 접종 후 2개월 후와 6개월 후에 각각 다시 접종하게 됩니다. 전체 3회에 걸쳐 접종이 진행되며, 약효가 언제까지 지속되느냐에 따라 현재까지도 연구가 진행 중에 있습니다.
가장 중요한 포인트는 인유두종 바이러스에 감염되기 전에 백신을 접종해야 하며, 만약 이미 성경험이 있거나 26세 이후의 여성이라도 인유두종 바이러스에 감염되지 않았더라면 백신 접종을 통해 예방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국내에서는 미국과 마찬가지로 인유두종 바이러스 예방 백신인 가다실을 남성에게도 접종가능하다고 승인을 받고 접종 진행 중에 있습니다. 남성의 경우, 기본 접종은 성경험 시작 시기 전인 11세 ~ 12세에 권고되고 있으나, 이전에 접종을 하지 않았다면 13세 ~ 21세에 접종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또한 22세 ~ 26세 남성에게도 접종할 수 있습니다.
첫 접종 나이 | 접종 횟수 | 차수 | 다음 접종 간격 |
12세 ~ 14세 | 2회 | 1차 | 6개월 ~ 12개월 |
2차 | - | ||
15세 ~ 26세 | 3회 | 1차 | 2개월 |
2차 | 4개월 | ||
3차 | - |
[지정의료기관 찾기]
질병관리청 예방접종도우미 Home → 예방접종 관리 → 지정의료기관 찾기 → HPV 국가예방접종 지원사업
암 환자 의료비 지원 사업 및 국가 암 검진 사업 (1) | 2025.01.16 |
---|---|
첫만남이용권 신청 및 지급일, 사용처 (2) | 2025.01.15 |
신생아 특례대출 대상 및 금리, 한도, 이용 기간 (1) | 2025.01.12 |
폐렴구균 예방접종 및 백신 종류 프리베나13, 프로디악스23 (1) | 2025.01.11 |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지원 대상 및 신청 방법 (1) | 2025.01.10 |